헤어 스타일링을 위해 미용실을 찾자니 비용이 만만치 않으신가요? 지금부터 집에서 뚝딱뚝딱 짧은머리 손질을 하고 싶은 분들이 알아두면 좋을 짧은머리 고데기 제품을 알려드릴게요.
숏컷부터 중단발, 긴머리까지 머리카락의 길이따라 기능과 가성비를 고려하여 선정한 고데기 BEST3입니다.
목차
짧은머리 간편 손질템
'똥손인 사람도 집에서 손쉽고 예쁘게 원하는 짧은머리 스타일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고데기 없을까..'하는 분들은 집중해 주세요.
판고데기는 자칫하면 머리에 눌린 자국이 생겨서 머리를 망칠까봐 소심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제품은 실패없는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 제품은 바로 빗고데기인데요. 제가 추천드리는 에어슨 빗고데기는 빗 타입의 고데기 제품으로 빗처럼 빗어주기만 해도 짧은머리나 단발 머리 스타일링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별 다른 스킬이 필요없고 무선이라 줄 꼬임 없이 슥슥 빗어주기만 하면 되거든요. 짧은머리 고데기에 대한 감이 전혀 없는 저도 몇 번 써보니 사용법을 알겠더라고요.
작고 가벼운 무게로 외출 시에 휴대도 간편하고, 에어슨 빗고데기의 경우 보관캡이 있어 먼지로 인한 고장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에어슨 빗고데기 내돈내산 후기
※ 에어슨 무선 빗고데기는 하단 링크에서 53% 할인가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애매한 중단발 구원템
일명 거지존이죠. 애매한 기장의 중단발에 적합한 고데기로는 바비리스 글램 터치 32MM 웨이브 봉 고데기를 추천드려요.
단발머리 손질을 생각보다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봉고데기 하나면 중단발 머리 손질이 한결 수월해지실 거라 생각됩니다.
이 고데기는 빠른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해주면서, 더블 세라믹 코팅 배럴로 모발 손상은 최소화하는데요. C컬 스타일링과 히피펌, 물결펌 연출이 모두 가능합니다.
다만, 봉고데기는 제품 특성상 겉면이 뜨거워서 이마나 볼, 손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샤랄라 긴머리 여신템
다음으로 긴 머리 스타일은 그냥 두면 모발 타입에 따라 지저분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고데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긴 머리에 적합한 고데기로는 보다나 소프트바 판 고데기가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실리콘바가 머리카락을 보호하면서 부드러운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줍니다. CS컬을 연출할 때는 머리를 고데기로 잘 펴준 후에 모발 끝으로 갈수록 고데기를 조금씩 회전하면서 모발을 말아주면 됩니다.
이때 너무 오래 누르지 않고 이동해야 촌스럽지 않은 꾸안꾸 컬을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근데 혹시 '이게 말이 쉽지 난 똥손이라 어렵다'하는 분들 계신가요?
머리로는 잘 알겠는데 손이 안 따라주는.. 저도 그 마음 잘 압니다. 그런 분들에게는 멀티 고데기를 추천드려요. 멀티 고데기 중에서는 차이슨 에어랩 3세대(최신형)가 가성비 좋은 편인데요.
이 제품은 부시시한 잔머리부터 C컬, S컬, 자연스러운 웨이브, 뿌리 볼륨까지 다 가능한 만능 멀티고데기입니다. 저같은 똥손도 잘 쓰고 있는 제품인데 실제 사용후기는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여기까지 짧은머리 고데기부터 멀티 고데기까지 머리 길이에 따라 적합한 고데기를 알아보았는데요. 가성비와 기능 이 2가지를 잘 고려하여 가장 알맞은 제품으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차이슨 에어랩 고급형 후기 7.5일간 매일 써보고 느낀점
최근 들어 차이슨 에어랩 고급형 3세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아무래도 다이슨의 값비싼 가격 및 AS 불만 폭주로 돌아서는 소비자들이 많아진듯 싶다. 이런 타이밍에 차이슨 업체로부터 제품
hi-meow.tistory.com
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뷰티패션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젖은머리 스타일링 쉽게 하는 꿀팁과 주의사항 2가지 (1) | 2024.08.01 |
---|---|
숱없는 머리펌 가장 만족도 높은 3가지 스타일 모음 (0) | 2024.05.23 |
잔머리 정리 실제로 효과 톡톡히 봤던 방법 7가지 (0) | 2024.05.12 |
머리숱 없는 여자 단발 길이별 이건 피하세요 (1) | 2024.05.06 |
60대 헤어스타일 귀티나고 고급진 머리 종류 4가지 (1) | 2024.05.02 |